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6 | |
7 | 8 | 9 | 10 | 11 | 12 | 13 |
14 | 15 | 16 | 17 | 18 | 19 | 20 |
21 | 22 | 23 | 24 | 25 | 26 | 27 |
28 | 29 | 30 |
- Greedy
- React 훅 사용규칙
- rest operator
- react
- spread operator
- 프로그래머스
- DFS
- Modern Javascript
- useState
- codility
- 프로그래머스#JAVA
- 리액트 상태값 업데이트
- 섬 연결하기
- Segment Tree
- 리액트 성능 최적화
- batch udpate
- Lifting State Up
- State
- useContext
- state update scheduling
- 객체지향 설계 5원칙
- useReducer
- BOJ2042
- Kruskal Algorithm
- DB Navigator
- JS Array Functions
- MST구현
- java
- 리액트의 작동방식
- heap
- Today
- Total
개발하는SM
[프로그래머스] 등굣길 본문
programmers.co.kr/learn/courses/30/lessons/42898
코딩테스트 연습 - 등굣길
계속되는 폭우로 일부 지역이 물에 잠겼습니다. 물에 잠기지 않은 지역을 통해 학교를 가려고 합니다.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m x n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 아래 그림은 m =
programmers.co.kr
문제 설명
계속되는 폭우로 일부 지역이 물에 잠겼습니다. 물에 잠기지 않은 지역을 통해 학교를 가려고 합니다. 집에서 학교까지 가는 길은 m x n 크기의 격자모양으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.
아래 그림은 m = 4, n = 3 인 경우입니다.
가장 왼쪽 위, 즉 집이 있는 곳의 좌표는 (1, 1)로 나타내고 가장 오른쪽 아래, 즉 학교가 있는 곳의 좌표는 (m, n)으로 나타냅니다.
격자의 크기 m, n과 물이 잠긴 지역의 좌표를 담은 2차원 배열 puddles이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. 오른쪽과 아래쪽으로만 움직여 집에서 학교까지 갈 수 있는 최단경로의 개수를 1,000,000,007로 나눈 나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.
제한사항
- 격자의 크기 m, n은 1 이상 1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.
- m과 n이 모두 1인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- 물에 잠긴 지역은 0개 이상 10개 이하입니다.
- 집과 학교가 물에 잠긴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.
풀이
dp[i][j] = i행 j열까지 최단경로의 개수
위와 같이 dp[i][j]를 정의하면, 움직이는 것은 오른쪽과 아래쪽으로밖에 못 움직이므로 점화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.
(i, j) 까지 오는 방법은 아래 두 가지 밖에 없다.
1. 왼쪽 (i, j-1) 에서 오른쪽으로 이동
2. 위쪽(i-1, j) 에서 아래쪽으로 이동
따라서, dp[i][j] = dp[i][j-1] + dp[i-1][j] 이다.
또한 여기서 중요한 것이, 최단경로를 초기화 하는 것인데..
먼저, 물에 잠긴 지역과 집의 경우는 이동할 수 없으므로 dp 배열의 해당 위치에 -1이라는 값을 넣어줬다.
(여기서 puddles 의 좌표가 (행, 열) 이 아니라 (열,행) 형태로 주어져서.. 런타임 에러가 났었다)
그리고 집에서 오른쪽으로 가거나, 아래로 가는 경우 최단경로의 개수는 무조건 일직선으로 이동하는 것 1개이다.
다만, 우측 또는 아래로 이동하다가 물에 잠긴 지역을 만날 경우에, 그 이후에 있는 우측 지점들의 경우 최단경로의 개수가 1보다 클 수 있으므로 1로 찍어주는 것을 멈춘다.
이렇게 초기화를 해주면, dp[][] 배열에 값이 채워지지 않은 녀석들, 즉 dp[i][j] = 0 인 녀석들만 위에서 구한 점화식대로 값을 채워주면 된다.
dp[i][j] = dp[i][j-1] + dp[i-1][j]
점화식대로 값을 채울 때도, 해당 값들이 물에 잠긴 지역인 경우를 고려해야 한다.
(물에 잠긴 지역일 경우 0으로 처리함)
그리고 더해줄 때 int 의 오버플로우 방지를 위해 문제에서 요구한 나머지값을 계산하여 더해준다.
import java.util.*;
class Solution {
public int solution(int m, int n, int[][] puddles) {
int answer = 0;
int dp[][] = new int[n][m];
for(int i=0; i<puddles.length; i++){
dp[puddles[i][1] -1][puddles[i][0]-1] = -1;
}
dp[0][0] = -1;
for(int i=0; i<m; i++){
if(dp[0][i] == -1 && i != 0) break;
dp[0][i] = 1;
}
for(int i=0; i<n; i++){
if(dp[i][0] == -1 && i != 0) break;
dp[i][0] = 1;
}
// System.out.println(puddles.length);
//System.out.println(puddles[0][0] + " " + puddles[0][1]);
for(int i=0; i<n; i++){
for(int j=0; j<m; j++){
if(dp[i][j] == 0){
if(i-1 >=0 && j-1 >= 0){
if(dp[i-1][j] != -1 && dp[i][j-1] != -1){
dp[i][j] = (dp[i-1][j] + dp[i][j-1]) % 1000000007;
}else if(dp[i-1][j] != -1){
dp[i][j] = dp[i-1][j] % 1000000007;
}else if(dp[i][j-1] != -1){
dp[i][j] = dp[i][j-1] % 1000000007;
}
}
}
}
}
// for(int i=0; i<n; i++){
// for(int j=0; j<m; j++){
// System.out.print(dp[i][j] + " ");
// }
// System.out.println();
// }
answer = dp[n-1][m-1] % 1000000007;
return answer;
}
}
'Algorithm > D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프로그래머스] 정수 삼각형 (0) | 2020.11.12 |
---|---|
[프로그래머스] 도둑질 (0) | 2020.11.12 |
[프로그래머스] N으로 표현 (0) | 2020.11.09 |